짧은 독후감 개발자들의 필독서?처럼 여겨지는 클린코드를 이제야 읽어보았습니다. 이론 파트에서는 11장 시스템 부분이 가장 어려웠고, 코드 리팩토링 과정의 예시를 보여주는 14, 15, 16 챕터는 난도가 있어 여러 번 다시 읽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. 큰 틀에서 보면 의사코드를 작성하듯 코드의 알고리즘을 누구나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쓰면 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. 이해하는데 두 번 이상의 추론이 필요하지 않게 말입니다. 전공 수업 때 배웠던 의사코드 작성법을 다시 찾아보았는데, 책에서 의도하는 바와 상당히 유사합니다. 클린코드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은 여러 추상화 수준의 의사코드를 쓰는 것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. 클린코드 + chatgpt로 리팩토링? ChatGPT에 코드를 붙여 넣고 "리팩토링 ..
ChatGPT와 OverTheWire Bandit를 활용한 효율적인 리눅스 명령어 학습법을 제시하는 글입니다. 리눅스 명령어 활용의 중요성 리눅스는 전 세계의 서버, 슈퍼컴퓨터,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운영 체제입니다. 그러므로 리눅스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IT 개발자에게 필수적인 스킬로 여겨집니다. 특히 다음과 같은 이유로 리눅스 명령어 학습은 매우 중요합니다. 보안: 리눅스 시스템은 높은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합니다. 보안 전문가는 리눅스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고, 보안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. 커스터마이징: 리눅스는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서, 사용자가 자유롭게 시스템을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위해서는 리눅스 명령어에 대한 이해가 필..